Home
공모요강
참가신청
데이터제공
논문제출
연구결과
커뮤니티
공지사항
FAQ
home
keyboard_arrow_right
연구결과
description
연구결과
유형
radio_button_unchecked
check_circle
-->
전체
radio_button_unchecked
check_circle
-->
학술지 게재논문 요약
radio_button_unchecked
check_circle
-->
논문발표회 발표자료
응모년도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전체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2020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2019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2018 ~ 2016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2015 ~ 2013
연구분야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전체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도시계획·설계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부동산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교통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환경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방재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건강복지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사회
check_box_outline_blank
check_box
정보
상세검색
검색
keyboard_arrow_right
서울 대도시권 산림-도시 인접지역 도시형 산불대응체계 개선방안
김진근, 설수호, 김두일
서울특별시 산림도시 인접지역, 도시형 산불, 도시형 산불대응 조직설계, 위험성 분석 및 평가
성평등 노동환경 조성을 위한 일·생활균형제도와 직무만족도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시 사업체를 중심으로 복지제도 제공과 이용여부에 따른 성별 비교
황나리, 강신혜, 이지선, 임예슬
사업체, 성평등 복지제도, 일·생활균형 직무만족도, 서울시, 한국노동패널
공간적 형평성 개념에 근거한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을 중심으로
장성만, 안영수
대중교통 형평성, 접근도,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로렌츠커브, 지니계수
미시 공간 기반 신설 법인의 입지 특성 분석
김경옥
입지특성, 업종별 특성, 정보서비스업, 제조업, 영과잉 음이항 모형, XGBoost
주거특성이 서울시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다은
최저주거기준, 주거특성, 출산 의사, 저출산, 주택정책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 대한 다수준 분석
최재훈, 박석만, 우신철
범죄 두려움, 취약성이론, 기회이론, 무질서모델, CCTV, 가로등‧보안등, 다수준 위계적 선형모형
서울시 고령자의 1차 의료 접근성과 공간적 형평성 분석: 서울시 대중교통 API를 활용하여
윤윤채
1차 의료 접근성, 고령자, 대중교통, 공간적 형평성, 공공 빅데이터
Spatiotemporal Dynamics of Restaurant Entrepreneurship in Seoul, Korea
진찬우
spatiotemporal analysis, urban dynamics, public big data, restaurants, Seoul, Korea
도시재정비사업에서의 적극적 행정의 역할 제언: 서울시 세운3구역을 중심으로
이태경, 이종현, 편수진, 황재원
도시재정비사업, 세운3구역, 세운재정비촉진지구, 토지공개념, 적극적 행정
도시에너지전환 정책을 연계한 노인세대 주거안정 개선정책 제안: 노후주택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 개선효과를 중심으로
김재문
노후주택, 헌집증후군, 그린리모델링, 사회적비용, 에너지전환을 연계 주거안정 전책
주거불안이 지역사회 안전 인식에 드리운 그림자: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민경
주거불안, 주거안정,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율, 지역사회 안전 인식, 주거환경 만족도
민간등록임대주택의 현황과 문제점: 세입자 권리 보장을 중심으로
윤성진, 정용찬, 김기태, 정남진, 조현준, 권지웅
민간등록임대주택, 세입자 권리, 서민주거안정
경기도 전입지의 기업분포가 서울시 가구의 전출에 미치는 영향
변세준, 배민지
공공데이터, 중력모형, 패널분석모형, 도구변수, 거주지 이전
자율주행 공유자동차 도입에 따른 서울시 주차수요 변화 예측
이호준, 고준호, 장준석, 이수기
자율주행 공유 자동차, 주차수요, 시뮬레이션
상점 밀도와 업종 다양성을 이용한 서울시 골목상권의 동태적 변화 모니터링 연구
김현철, 안영수
상권, 골목상권, 포트폴리오 분석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고영주, 조기환, 김우찬
환경형평성, 녹지서비스, 지표면온도, Landsat, Sentinel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의 역할
허식, 이학준
문화예술 활동, 행복, 주관적 안녕감, 행복결정요인, 행복경제학
자전거 불균형을 고려한 공유자전거 시스템 운영을 위한 공유자전거 이용 특성에 대한 연구
김경옥
공유자전거, 공공자전거, 수요 예측, 군집분석, 분류분석, 기계 학습
신문 분양 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환경 속성의 중요성: 학세권, 역세권, 숲세권을 중심으로
명혜린, 최윤원
아파트 분양 광고, 아파트 청약, 아파트 입지조건, 학세권, 역세권, 숲세권, 한강, 텍스트 분석, 다중회귀분석
주관적 계층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대상으로
정예림, 김수영
주관적 계층인식, 계층이동가능성, 구조모형방정식, 삶의 만족도, 삶의 질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을 둘러싼 지역 내 갈등: 갈등의 원인분석과 제언을 중심으로
오수연, 최은진
공공임대주택, 청년주택, NIMBY, 지역내갈등, 정책, 정책집행, 정책인식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방문 관광객의 관광 특성 분석: 플리커 데이터를 중심으로
김나연, 이주윤, 김동은, 박예림
서울 관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리커(Flickr), 공간 분석, 지오태그(Geotag), 텍스트 마이닝, 이미지 마이닝, 이동 궤적(trajectory) 분석, 딥..
서울시 세대별 1인 가구의 주거특성 분석 및 정책제언
고정희
세대별 1인가구, 1인가구 주거특성, 중년 니트족, 공공임대주택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에 대한 주민의 참여의사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박서연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주민참여, 사회자본, 정책인지도
서울시 다차원적 빈곤의 측정과 복지정책의 방향 및 과제: 2015년 서울시 복지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이봉조, 강상원, 정자유
다차원 빈곤, 박탈, 빈곤선, 빈곤의 역동성
숨 쉬기 편하십니까?: 미세먼지가 서울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
김단야, 진은애
행복, 미세먼지, 서울서베이, 한계대체율(Marginal rates of Substitution), 비용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질 악화가 서울시 상권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민주, 김규환
미세먼지, 대기질, 패널분석, IDW, 경제적 피해 추정
도시공간구조가 지역의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 통계적 모델링과 도시개발 시나리오 분석
정민철, 김성환
도시공간구조, 압축도시, 대기오염, 미세먼지, 토지이용회귀모형(LUR), 인공신경(ANN)
Macroscopic Fundamental Diagram 기반의 교통관련 대기 오염 평가 모델 개발 및 서울시 교통관련 대기 오염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탁세현, 김성훈, 김예은
거시적 교통 모델, 대기 오염, 미세 먼지, 주차 정책, 신호 제어
의사결정나무와 시공간 시각화를 통한 서울시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강영옥, 손세린, 조나혜
커널분석, 핫스팟분석, 스페이스타임큐브분석, EHSA,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의사결정규칙, 교통사고 분석, 교통사고 심각도
서울시 소득불평등 추이와 원인 분석 및 소득불평등과 주거비용에 관한 논의
박상연, 최제민
서울시 GINI계수, 소득불평등, 소득원천별 분해, 주거비
RNN(LSTM)을 이용한 공공 자전거의 동적 상태 재배치 연구: 실시간 서울 공공자전거 데이터를 중심으로
소윤상, 배홍걸, 조황영
서울자전거, 공공자전거, 공유수단, 딥러닝, 재배치, 따릉이, 재귀신경망, RNN, LSTM, sharing, bike, dynamic repositioning, rebalanci..
인공지능을 활용한 폭염 발효 기준 제고 방안: 온열질환자를 대상으로
박주현
폭염, 무더위, 온열질환자, MARS(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 일 최대기온
서울시 초미세먼지(PM2.5) 농도 분석과 대책 연구
오장욱
초미세먼지(PM2.5), 국민건강, 극단치분포, 재현수준, 녹지조성, 기상조건, 화학물질
미세먼지가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
공경식
합계출산율, 미세먼지, 도구변수
금연구역과 흡연공간의 분석을 통한 흡연공간과 서울시민의 행복증진의 인과관계 연구
박동찬, 오수훈, 임지수
금연구역, 흡연공간, 흡연실태, 흡연자 특성, 지역 분석, 격자망분석, 다중회귀분석
서울 자전거 따릉이 이용특성 분석: 공간정보와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조현민
따릉이, 네트워크 분석, 공간정보 분석, 공공 데이터
서울시 범죄발생의 핫스팟과 공간자기상관성의 변화 분석: QGIS와 GeoDa를 활용하여
심수진, 서한별
범죄, 5대범죄, 핫스팟, 공간자기상관성, LISA, QGIS, GeoDA, Time-space, 범죄율, 범죄변화
도시철도서비스의 속성 및 개별 역의 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운행편수, 소요시간, 승하차 인원, 역접근성을 중심으로
배상영, 이재원, 조아해
도시철도, 아파트가격, 운행편수, 승하차인원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서울시 거주 청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결정요인 분석
전성윤, 조민혁
최저주거기준,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주거빈곤, 주거취약계층,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인공신경망
서울시 외국인 밀집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CPTED에 관한 연구: 영등포구 대림2동과 구로구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신수민, 박진규
외국인밀집지역, 외국인 범죄, 다문화사회, 범죄예방 환경설계, CPTED
여성안심귀가서비스 시행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윤다희, 조수빈, 김장중
여성 치안, 여성안심귀가서비스, 빅데이터, 여성 대상 범죄 예방
소방서비스의 사회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이달별
화재, 소방서비스, 사회적 취약성, 서울
정형/비정형 교통 데이터를 통한 서울의 교통 환경 및 만족도 분석
박지영
정량적 데이터, 정성적 데이터,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교통 혼잡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택시와 대중교통 이용패턴 차이를 유발하는 공간적, 사회적 특성 연구: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김경옥
택시, 대중교통, 지하철, 이동패턴, 군집분석, 분류분석, 회귀분석
서울시 직장인들의 통근시간과 행복
진장익, 김단야, 진은애
행복, 통근시간, 서울서베이, 패널모형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및 녹지 보상재원 마련을 위한 지방채 기부채납과 용적률 인센티브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지방채 발행을 중심으로
김유리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및 녹지, 지방채, 우선매수지역 선정, 기부채납, 용적률 인센티브
오픈스페이스 조성이 인근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경의선 숲길을 대상으로
박주현
경의선 숲길, 오픈스페이스, 경제적 영향, 상권 분석
여름철 상권지역의 고령자 유동인구 증감영향요인 분석: 서울시 주요상권을 중심으로
김병제
폭염대응정책, 고령자, 유동인구, 회귀분석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1인 가구 주거입지 요인 분석: 20~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박근덕
1인가구, 역세권, 청년, 주거 입지, 사업체, 서비스업
서울시 구별 지역특성이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거주기간과 지역특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나수영, 이지연
노인, 행복, 서울, 자치구, 거주기간, 지역특성, 위계적 선형모형
지역주민의 인지적, 심리적 요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영호, 엄광호
행복, 서울 시민 고향 인식도, 서울시민으로서의 자부심, 심리적 안정감, 서울서베이, 확률절편모형
교통사고와 대기오염이 거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친 영향: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안용진
공공데이터, 주거환경 만족도, 교통사고, 대기오염, 핫스팟 분석, 다수준분석
와이파이 입지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 활력 측정 연구
김영롱, 진찬우
와이파이, 도시 활력, 빅데이터, 함수요인분석(FPCA)
서울시 유동인구의 공간 분포 결정요인과 소매업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6개구 사례
강창덕
유동인구, 소매업 매출액, 공간 접근성, 중심성
API 경로안내 정보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취약지 분석: 서울시 내 고용중심지로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하재현
대중교통 서비스 취약지, 이동성, Google Map API, SK Planet API, 경로안내 정보
서울시 주택 전세금 비율의 미시적 추정
이창로, 맹준영, 장명수
실거래가, 전월세, 전세금 비율, 다수준 모형
서울시 오피스 건물의 입지패턴과 공간적 군집에 미치는 요인 연구: 2003년과 2012년 대형 오피스 건물 사례
이재수
오피스, 중심지, 군집패턴, 핫스팟, 로짓모형
복합토지이용의 수요적 측면에 관한 연구: 서울시 아파트가격과 일반주택가격에 대한 효과 비교
진은애, 김단야
복합토지이용, 주택가격, 도구변수, 2단계최소자승법
꿀벌의 방화(訪花)활동과 환경·사회·경제적 효과를 고려한 도심 옥상정원 입지 선정 모형 연구
곽재하, 이보경, 이원경
옥상정원, 꿀벌, Minimum Facilities, 최적화 입지 선정, 서울시
도시구성요소가 도시열과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관계 규명 연구
김기중, 안영수, 강영경, 이승일
도시구성요소, 도시열, 건물에너지소비, 구조방정식
유동인구추정데이터를 활용한 대기오염노출과의 상관관계
박진우, 박진홍, 최진무
대기오염확산모델, CALINE4, 유동인구, 노출량
서울특별시 고농도 미세먼지 자료의 다중척도 모델링
박선철, 오희석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Kriging, Particulate matter, Return level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대중교통 이동 패턴 추출 및 이동 토픽 분석
박호성, 문수복
대중교통, 인간 이동, 토지 이용, 이동 패턴 분석, 토픽 모델링
서울시 교통사고 위험요인에 대한 공간모형 개발 및 위험도 추정
허태영, 정보미, 강일석, 박건희, 이재경
모란지수, 공간모형, 일반화 포아송모형, 조건부자기회귀모형, 과대산포, 위험지도
연결망 이론으로 본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분석
김환배
사회 연결망 분석, 연결정도 중심성, 위세 중심성, 사이 중심성, 커뮤니티 분석, 지하철
호우 및 태풍 피해에 대한 지역의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분석
박한나, 송재민
회복탄력성 개념, 회복탄력성 대리변수, 회복탄력성 영향 요인, 패널데이터 분석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을 위한 ICT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김미연, 서동조, 변종봉, 강종관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 ICT기반의 독거노인복지서비스,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ELA서비스 모듈
저소득층 노인 밀집지구의 시·공간 패턴과 근린환경 특성
이희연, 이다예, 유재성
아동가구, 남성가구주, 삶의 만족도,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GWL을 적용한 공간 헤도닉 모델링: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대상으로
진찬우, 이건학
공간 헤도닉 모델,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Geographically Weighted LASSO(GWL), 아파트 실거래가, 공간..
서울시 가로의 물리적 여건에 따른 주간 보행량 변화패턴 유형 연구
이정우, 김혜영
유동인구, 보행량, 복합적 토지이용, 가로 활성화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통행 흐름 패턴과 고령자 통행 목적지의 유인요인 분석
한수경
고령자, 대중교통, 통행흐름, 유인 요인, 사회네트워크 분석
지하철 및 고용접근성 변화가 서울시 고용중심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진장익, 진은애
고용접근성, 고용중심지, 지하철접근성, 고용성장
다속성 빅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서울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최정민, 김건우
빅데이터, 데이터마이닝, 1인 가구,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 다속성
지역에 대한 애착이 주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엄영호, 엄광호
행복지수, 장소 애착, 고향 인식도, 서울서베이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자본 관계 분석: 행복한 시민, 따뜻한 지역공동체
정명은, 김미현, 장용석
행복, 사회자본, 공동체, 서울서베이
서울시 직장인들의 통근시간과 행복
진장익, 진은애, 김단야
행복, 통근시간, 서울서베이, 패널모형
시간 모형을 이용한 감염병 감시 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송혜인, 허태영, 반영운
급증, 전염병감시체계, 알고리즘, 유행성이하선염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을 위한 ICT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김미연, 서동조, 변종봉, 강종관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 ICT기반의 독거노인복지서비스,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ELA서비스 모듈
유동인구를 활용한 대피소 수용 능력 분석
김미경, 강신혜, 김상필, 손홍규
대피소, 유동인구, 주간활동인구, 네트워크 분석, 대피 취약지
서울시 소방서비스의 공간적·사회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이달별
소방서비스, 공간적·사회적 형평성, 사회적 취약성, 서울
The Effects of Bus Ridership on Airborne Particulate Matter(PM10) Concentrations
허재석, 박성진, 이제승
airborne particulate matter, bus ridership, air pollution, urban form, spatial model
Spatio-temporal Analysis of Particulate Matter Extremes in Seoul
박선철, 오희석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Kriging, Particulate matter, Return level, Scaling prope..
활동기반모형을 이용한 근무유연제와 재택근무제 시행에 따른 대기오염노출의 시공간 변화 분석
최문기, 김예린, 조성진, 황철수
근무유연제, 재택근무제, 대기오염노출, 활동기반모형, 공간내삽법
어린이공원 수급적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박소현, 김규식, 고병옥
도시서비스시설, 도시공원, 공급지수, 수요지수, 실제 수요
서울시 주택의 규모와 종류, 건축연도별 특성이 에너지 소비량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실증연구
안영수, 김기중, 이승일
에너지소비, 주택 및 지역특성, 실증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서울시 비구조적 침수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복합포아송 회귀모형 개발
김학열, 강일석, 허태영
침수 피해면적, 복합 포아송, Tweedie 분포, 수해방지 대책
사회·경제·환경 효과와 꿀벌 방화활동을 고려한 옥상정원의 최적 입지 선정
이보경, 이원경, 곽재하, 손소영
Urban foraging, Green roof, Honeybe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도시구성요소가 도시열과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관계 규명 연구
김기중, 안영수, 이승일
도시구성요소, 도시열, 건물에너지소비, 구조방정식
서울시 교통사고 위험요인에 대한 공간모형 개발 및 위험도 추정에 대한 연구
정보미, 강일석, 허태영
모란지수, 공간모형, 일반화 포아송모형, 조건부자기회귀모형, 과대산포, 위험지도
서울대도시권 고령자의 시간대별 대중교통 통행흐름 특성과 통행 목적지의 유인 요인 분석
한수경, 이희연
고령자, 대중교통, 통행흐름, 유인 요인, 사회네트워크 분석
거주지 교통사고 공간적 집중이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친 영향: 다수준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25개 자치구 실증연구
안용진
주거환경 만족도, 교통사고, 핫스팟 분석, 다수준분석
Mapp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entrification near Urban Parks in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Seoul, Korea
권윤구, 주신하, 한소영, 박찬
젠트리피케이션, 젠트리피케이션 분포패턴, 도시공원, 경의선숲길공원
통근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과 주거용 토지가격 효과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강창덕
통근 네트워크, 네트워크 중앙성, 주거용 토지가격, 서울시
저출산, 고령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개 구를 중심으로
전해정
저출산, 고령화, 주택담보대출금, 주택매매가격, 패널분석
복합토지이용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아파트와 일반주택가격을 중심으로
진은애, 김단야, 진장익
복합용도, 주택가격, 도구변수, 2단계최소자승법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권역별 상업가로요인과 유동인구수가 상가매출액에 미치는 영향분석
유경훈, 장성만, 안영수
상권, 상가매출액, 유동인구, 상업가로요인, 구조방정식
Spatial Access to Pedestrians and Retail Sales in Seoul, Korea
강창덕
유동인구, 접근성, 중심성, 소매업 매출, 가로망, 서울
케빈 린치의 개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좋은 도시 형태론 5가지 실행척도를 중심으로
허재석, 선세나, 이제승
생활만족도, 좋은 도시 형태론, 케빈 린치, 다수준 모형
지하철 및 고용접근성 변화가 서울시 고용중심지의 고용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진장익, 진은애
고용접근성, 고용중심지, 지하철접근성, 고용성장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및 녹지 보상재원 마련을 위한 지방채 발행과 보상우선지역 선정: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김유리
개별공시지가, 지방채 이자율, 상관분석, 부분최소제곱 회귀분석
서울시 도시지표와 서울시민의 정주(定住)의식에 관하여: 생활환경만족도와 도시위험도를 중심으로
임미화
정주(定住)의식, 주거환경, 경제환경, 사회환경, 교육환경, 도시안전
도시스프롤 현상이 중심도시 쇠퇴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재생에 대한 함의: 수도권을 대상으로
엄현태, 우명제
도시스프롤, 도시쇠퇴, 도시재생, 도시성장관리
도시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분석 2000-2010: 수도권 기초조사구를 중심으로
진장익, 진은애
도시확산, 교외화, 기초조사구, 이항로짓모형, Mills-Muth 모형
서울시 근린 변화 연구: 2005~2015년 개별공시지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달별
근린, 근린변화, 개별공시지가, 집계구, 서울
대기오염확산모델을 이용한 유동인구의 대기오염 노출에 관한 연구
박진우, 박진홍, 최진무
Air Pollution Dispersion Model, CALINE4, Floating Population, Air Pollution Exposure, Air Pollut..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중구, 성동구, 동대문구를 사례로
고영주, 조기환, 김우찬
환경정의, 도시녹지, 도시열섬현상, 위성영상, 지표면온도
서울시 세대별 1인가구의 주거특성 분석 및 정책제언
고정희
세대별 1인가구, 1인가구 주거특성, 중년 니트족, 공공임대주택
Seoul's Wi-Fi hotspots: Wi-Fi access points as an indicator of urban vitality
김영롱
Wireless internet, Urban vitality, Virtual space, Big data,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Path..
서울시 전기안전 서비스 활용의 지역별 격차에 관한 연구: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이동성, 김경아, 문태훈
전기안전119 서비스, 지역격차, 환경정의, 공간계량분석
국내 도시 구조와 대기오염의 공간적 관계: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Urban Structures and Air Pollution in Korea
정민철, 박재우, 김성환
도시공간구조, 대기오염, Moran’s I, 베이즈 공간 회귀 모형
행복결정요인에 대한 문화예술 활동참여의 역할
이학준, 허식
문화예술활동, 행복, 주관적 안녕감, 행복결정요인, 문화경제학
브랜드가 점포의 생존 및 폐점에 미치는 영향: 서울 주요상권 내 음식점을 중심으로
이정란, 도난영
브랜드 점포, 점포의 생존 및 폐점, 카플란-마이어방법, 콕스-비례위험모형
Defining heatwave thresholds using an inductive machine learning approach
박주현, 김정섭
Heatwave, machine learning, non-linear relationship
도로기반 3차원 위치식별코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ad-Based 3D Positioning Identification Code
임성진, 박지수, 손진곤
standardization, integration, road-based, Positioning Identification Code, 3D Positioning Identi..
사회자본과 정책인지도가 주민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박서연, 전희정
주민참여, 사회자본, 정책인지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서울시민의 생태학적 특성이 복지 이데올로기 유형 분류에 미치는 영향
서은철, 김화룡, 서건우
Seoul citizens, welfare ideology, ecological characteristics, latent profile analysis
이태원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은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일어나는가?
경신원, 정규리
젠트리피케이션, 초국가적인 행위자, 이태원, 세계화, 탈산업화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ridership patterns of subway and taxi: Case study in Seoul
김경옥
택시, 지하철, 교통수요패턴, 도시교통, 분류분석, 군집분석
An Agent-Based Assessment of Health Vulnerability to Long-Term Particulate Exposure in Seoul Districts
신혜섭, Mike Bithell
PM10, Exposure, Health Vulnerability, Agent-Based Model (ABM), Seoul
Economic impacts of a linear urban park on local businesses :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in Seoul
박주현, 김정섭
Economic impacts, Actual sales data, Revitalization, Urban regeneration, Linear parks
공모요강
참가신청
데이터제공
논문제출
연구결과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