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연구결과
대기오염확산모델을 이용한 유동인구의 대기오염 노출에 관한 연구
대기오염확산모델을 이용한 유동인구의 대기오염 노출에 관한 연구
연구자
박진우: Texas A&M University 지리학과 박사과정
박진홍: 경희대학교 소셜네트워크과학과 박사수료
최진무: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유동인구 등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미시적인 개발 계획 수립 필요 ”
검증된 대기오염확산모델 활용을 통한 고해상도 대기오염 시뮬레이션이 필요
대기오염농도는 교통랑에 비례, 통행속도에 반비례하며, 교차로에 집적되는 경향. 연구지역인 영등포역 부근의 경우, 교통랑이 많은 경인로 > 영등포로 > 영중로 순으로 대기오염(일산화탄소, 미세먼지)의 집적이 발생함. 또한 대기오염은 도로에서 50m 사이에서 대부분의 집적이 발생하며, 100미터 이상이 될 경우 도로오염원의 영향력이 미비한 거리조락이 큰 물질. 따라서 기존 대기오염측정소에 의존하여 내삽기반의 추정방식이 아닌 검증된 모델을 이용한 미시적이며 고해상도인 대기오염분포 파악이 필요
대기오염확산모델 (CALINE4)로 추정된 도로오염원 발생 대기오염(PM, CO) 분포
고령/남성의 유동인구의 분포와 도로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분포의 높은 상관관계
연령별로는 고령인구일 수록 영등포시장 등 실외, 젊은 인구일수록 타임스퀘어/롯데백화점 등 실내에 위치.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도로를 따라 넓게 분포하는 모습을 보임. 연령별/성별 추정인구분포와 대기오염분포를 비교한 결과, 고령/남성의 추정유동인구 분포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 이는 고령/남성일 수록 대기오염에 많이 노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 따라서, 영등포의 도시계획을 시행 시 도로를 주변으로 이동하는 고령유동인구가 많은 특성을 고려야하며, 일반적으로도 유동인구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미시적인 개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함을 의미.
대기오염의 분포와 유동인구 분포의 개괄적 상관계수
――――――――――――――――――――――――――――――――――――――
학술지 게재정보
∙ 국토지리학회지 제52권 2호 p.193-204
∙ ISSN: 1225-3766
참가 이력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2015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참가
∙ 제목 : 유동인구추정데이터를 활용한 대기오염노출과의 상관관계
활용 데이터 목록
∙ 유동인구 추정자료 (SKT Geovision, 2013)
∙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자료(서울시, 2012)
∙ 대기오염측정자료 (국립환경과학원, 2013)
∙ 기상자료 (기상청, 2015)
* 본 게시물은 타 학술지에 게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