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연구결과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을 위한 ICT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을 위한 ICT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연구자
김미연 : 서울디지털대학교 디자인학과 생활환경디자인전공 교수
서동조 : 서울디지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변종봉 : ㈜메타로직컨설팅 대표이사 / 조경학 박사
강종관 : 한국정보화진흥원 / 사회복지정책학 박사
“ 신체적, 정신적, 일상생활 및 노인의 일반 사항에 대한 ELA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ELA 서비스 모듈을 구성하며, 독거 노령계층의 정보접근에 대한 고려는 물론
노인욕구에 대응하는 편리하고 실질적 서비스 개발을 위한 모델 연구 ”
ELA(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욕구저장소(Need-store) 독거노인 욕구의 시급 정도에 따른 순차적 라이브러리(데이터)를 구성하고, 독거노인의 기초적인 현황파악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에 필요한 ELA-Map을 구성
ELA 에이전트(ELA-Agent) 독거노인의 신체적 조건, 정신적 조건, 생활환경상태 조건 등에 따라 독거노인의 상태등급을 설정하여 이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표 제시
ELA 케어포인트 모듈(ELA Care-point Module) 2단계에서 설정한 상태등급에 따라 6개 모듈 구성(행동모듈, 소셜모듈, 클린모듈, 안전모듈, 응급모듈, 정서모듈)
ELA 서비스(ELA Service) 독거노인의 독립적 생활을 위한 행동지원, 사회활동지원, 주거환경지원, 정서지원 및 독거노인의 안전과 응급상황지원을 위한 서비스 모델로 구성
ELA 등급 ELA Service Model
――――――――――――――――――――――――――――――――――――――
학술지 게재정보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복합연구」 제13권 제4호 (2015) pp.25-38
∙ pISSN: 1738-1916
∙ http://doi.org/10.14400/JDC.2015.13.4.25
참가 이력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2014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참가
∙ 제목 :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을 위한 ICT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개발 –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활용 데이터 목록
∙ 통계지역경계(집계구) (서울, 2013)
∙ 행정경계 (읍면동, 법정동 선택표시) (서울, 2013)
∙ 집계구별 인구 통계 (서울, 2000, 2005, 2010)
∙ 집계구별 가구 통계 (서울, 2000, 2005, 2010)
∙ 집계구별 주택 통계 (서울, 2000, 2005, 2010)
∙ 서울서베이 자료 (서울, 2005~2013)
∙ 서울복지실태조사 (서울, 2013)
* 본 게시물은 타 학술지에 게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